2025년에는 다양한 국제 마라톤 대회가 전 세계에서 열린다. 보스턴, 런던, 베를린 같은 유명 대회부터 새로운 코스를 추가한 대회까지 많은 참가자들이 도전을 준비한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주요 마라톤 대회 일정을 정리하고, 각 대회의 특징과 참가 방법을 살펴본다.
1. 2025년 주요 월별 마라톤 일정
2025년에도 매달 세계 각지에서 대규모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. 대회 일정과 코스 특징을 미리 파악하면 참가 준비에 도움이 된다.
1월 – 3월
- 도쿄 마라톤 (3월 2일, 일본)
도쿄 마라톤은 매년 3월 첫째 주에 열린다. 평탄한 도로 코스로 유명하며 기록을 세우기 좋은 환경이다. 대회 참가를 위해서는 사전 추첨을 통과해야 한다. - LA 마라톤 (3월 16일, 미국)
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대회로, 할리우드 거리와 해안을 따라 코스가 구성된다. 기온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수분 섭취와 체온 조절이 중요하다.
4월 – 6월
- 보스턴 마라톤 (4월 21일, 미국)
세계 6대 메이저 마라톤 대회 중 하나다. 참가하려면 공인된 마라톤 대회에서 기준 기록을 통과해야 한다. 코스는 언덕이 많아 도전적이다. - 런던 마라톤 (4월 27일, 영국)
템스강을 따라가는 코스로, 많은 참가자들이 기부금을 모아 출전한다. 런던 타워 브리지를 지나며 뛰는 경험이 인상적이다.
7월 – 9월
- 베를린 마라톤 (9월 28일, 독일)
세계에서 가장 빠른 코스로 유명하다. 하프 마라톤 기록과 풀코스 세계 기록이 자주 갱신된다. 기온과 습도가 적당해 기록을 노리는 선수들에게 인기가 높다.
10월 – 12월
- 시카고 마라톤 (10월 12일, 미국)
평탄한 코스와 넓은 도로 덕분에 세계 기록이 자주 나오는 대회다. 참가자 수도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. - 뉴욕 마라톤 (11월 2일, 미국)
뉴욕 5개 구를 가로지르는 대회로, 참가자 규모가 가장 크다. 브루클린, 퀸스, 맨해튼을 달리며 다양한 도시 풍경을 경험할 수 있다.
2. 각 마라톤 대회의 특징
마라톤 대회마다 코스 환경과 운영 방식이 다르다. 자신에게 맞는 대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.
1) 기록을 목표로 한다면
- 베를린 마라톤은 코스가 평탄해 세계 신기록이 자주 나온다.
- 시카고 마라톤은 직선 구간이 많아 페이스 유지가 수월하다.
- 도쿄 마라톤은 비교적 기온이 낮고 도로가 정비되어 있어 기록 달성 가능성이 높다.
2) 참가 난이도가 높은 대회
- 보스턴 마라톤은 참가 자격이 까다롭고 언덕이 많다.
- 뉴욕 마라톤은 코스가 길고 다리 구간이 많아 체력 소모가 크다.
- 런던 마라톤은 대회 운영 방식이 복잡하고 참가권 경쟁이 심하다.
3) 경험을 위한 대회
- LA 마라톤은 할리우드를 포함한 관광 명소를 지나며 달린다.
- 런던 마라톤은 역사적인 건물과 명소를 감상하며 달릴 수 있다.
- 뉴욕 마라톤은 전 세계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축제 분위기가 특징이다.
3. 2025년 마라톤 참가 방법과 준비 과정
국제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려면 몇 가지 절차를 거쳐야 한다. 대회별 신청 방법과 준비 과정을 살펴보자.
1) 참가 신청 방법
- 기록을 제출해야 하는 대회는 보스턴 마라톤, 시카고 마라톤
- 추첨을 통해 선발하는 대회는 런던 마라톤, 뉴욕 마라톤, 도쿄 마라톤
- 일반 등록 가능한 대회는 LA 마라톤, 베를린 마라톤 (선착순 마감)
신청 시기마다 경쟁률이 다르므로, 원하는 대회의 접수 일정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.
2) 훈련과 컨디션 조절
- 장거리 훈련: 주 1~2회 25km 이상 달리기
- 인터벌 훈련: 속도를 조절하며 단거리 반복 훈련
- 근력 운동: 하체와 코어 근력을 강화해 부상 방지
- 휴식 및 회복: 대회 전 충분한 휴식과 수면 확보
3) 레이스 전략
- 초반 5km: 몸을 푸는 느낌으로 천천히 달리기
- 중반 20km: 목표 페이스를 유지하며 일정한 속도로 진행
- 후반 35km 이후: 에너지 보충하며 마지막 스퍼트 준비
2025년에도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. 각 대회마다 특징이 다르므로 목표와 실력에 맞춰 참가 대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. 참가 신청부터 훈련, 대회 운영 방식까지 미리 준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. 목표하는 대회가 있다면 지금부터 준비를 시작해 보자.